오픈소스란 ? |
||
공개 소프트웨어 • 저작권자가 소스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특별한 제한없이 자유롭게 사용,복제,배포, 수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 비영리기관인 OSI(Open Source Initiative)에 의해 공식적인 OSD(오픈소스 정의)로 명문화 >> 오픈소스의 장점 : 낮은 진입비용 - 무료 다운로드 및 소스코드 수정/재배포 가능 : 빠르고 유연한 개발 - 최신기술정보 및 문제점 해결책을 공유 : 호환성 - 오픈 포맷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간 상호연동성 보장 : 신뢰성과 안정성 - 커뮤니티를 통한 다양하고 우수한 개발자 참여로 보다 안정적 최근 2014년 Microsoft은 .NET을 오픈소스화 했고, 2015년 Apple은 프로그래밍 언어 Swift 를 오픈소스화했으며, Google은 TensorFlow를 오픈소스화를 선언했다. 시기적 환경적으로 오픈소스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시점이다. |
||
Linux (redhat, centOS, suse) |
||
리눅스는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유닉스 클론(Clone) 운영체제이다. 뛰어난 기능으로 인해 인텔 CPU가 아닌 다른 CPU를 장착한 피시와 워크스테이션에까지 이식되고 있다. 리눅스는 수많은 개발 자원자들이 참여하여 소스를 공개하고 자유로이 프로그램을 변경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프리웨어(Freeware)이다. 특징으로는 멀티 플랫폼 (Multiplatform),다른 운영체제에 대한 지원, 네트워킹, 인터넷을 통한 소통,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며 GUI형 X윈도우를 제공한다. |
||
OpenStack |
||
Opnstack은 대시보드를 통해 compute, storage, network 등 거대한 자원 풀을
제어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운영 체제이다. 클라우드 시스템의 화두이면서 빠져선 안될 OS 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Openstack의 특징은 이러한 자원들을 모두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Openstack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nova, swift, cinder, neutron, horizen, keystone, glance, ceilometer, heat 이 있다. |
||
MariaDB |
||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MySQL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의 MySQL 라이센스 정책에 대한 대안으로 만들어졌으며, 배포자는 몬티 프로그램 AB(Monty Program AB)와 저작권을 공유해야 한다. Mysql에 대응하여 MariaDB에는 Aria 저장엔진뿐만 아니라, InnoDB를 교체할 수 있는 XtraDB저장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
||
Postgresql |
||
PostgreSQL 은 북미와 일본에서 높은 인지도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ORDBMS 이다. 국내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엔터프라이즈급 DBMS의 기능과 차세대 DBMS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
JBoss |
||
제이보스(JBoss)는 자바를 기반으로 하는 오픈 소스 미들웨어이다. 대표적으로 Java EE 스펙을 지원하는 JBOSS Application Server가 있다. 현재 40개 이상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있으며, Jboss.org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 및 운영되고 있다. 새로운 기능 릴리스에 초점을 둔 오픈소스 미들웨어 개발 커뮤니티이며, 필요 시 릴리즈하고 10만 명 이상의 개발자가 참여한다.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이를 신속하게 기능 검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